스캠의 의미에 대해 다들 알고 계시나요? SCAM이라고도 하는데요. 스캠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신용사기입니다. 이는 도박판에서 상대를 속이는 행위를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자주 스캠이란 용어가 언급되는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투자자를 현혹시켜서 투자금을 유치한 다음에 파산하거나 잠적하는 행위를 뜻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로맨스스캠으로 인스타 DM이나 텔레그램 등으로 랜선으로 접근을 한 다음에 돈을 뜯어가곤 합니다. 이런 스캠수법에 당하지 않으려면 잘 믿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 제가 봤던 사례인 두 가지 위택스 재산세와 스타벅스 NFT 피싱 메일에 대해 한번 다뤄보겠습니다.
위택스 재산세 메일
위택스, 재산세 고지서 도착 안내 메일이 왔습니다. 재산세 같은 경우는 납부해야 하는 기간이 있는데요. 저는 재산을 따로 가지고 있는 상황이 아니기도 했고 납부기간이 아닌데 뜬금없는 안내메일이 와서 이건 100% 피싱이라는 것을 알아챌 수 있었는데요.
실제로 아래로 내려가면 버튼 하나가 있어 다른쪽으로 넘어가는 링크가 있더라고요. 따로 누르지는 않았고 저 고지서 관련내용은 또 이미지로 저장되어 있어서 200% 피싱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었습니다.
궁금해져서 위택스 홈페이지로 가봤는데요.
위택스에서는 사칭을 한 "재산세 고지서" 해킹 메일 주의 안내라는 공지사항이 이미 있더라고요. 위택스에서 실제로 발송하는 메일 같은 경우에는 no-return@wetax.go.kr이라고 합니다.
확인된 피싱메일의 도메인은 여러가지로 무조건 관련 메일이 오면 발송된 메일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바로 삭제를 진행했고, 이런 메일이 있다는 것을 지인들에게 알려 조심하라고 했습니다.
두 번째는 스타벅스 NFT 피싱메일인데요. 조금 되기는 했지만 대기업들에서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NFT를 공짜로 에어드롭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곤 했었습니다. 그때에 맞물려 이런 메일이 오기도 했었는데요. 보시죠.
스타벅스 NFT 피싱메일
제가 받았던 스타벅스 NFT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위와 같은 사이트를 만나볼 수 있었어요. 지금 프리민트라는 버튼을 누르면 메타마스크가 실행되면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서명되는 등의 권한을 넘길 수 있는데요.
실제로 해당 링크를 눌러 들어가, 해킹을 당했다는 이야기를 듣지는 못했지만, 다양한 피싱메일 수법이 있는 것 같더라고요. 또 중요한 거는 프리민트나 에어드롭 이벤트 소식을 지인들에게 알리기 위해서 믿는 분이 링크를 공유하는 등의 사례가 발견되면서 피해가 더 커질 수도 있겠더라고요.
아무 링크나 함부로 누르지 마시고, 자신의 정보를 누군가에게 임의로 넘기는 행동은 여러모로 조심하셔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쏘닉스 공모주 청약 하는법, 상장일은? (0) | 2023.10.27 |
---|---|
신용점수 확인하는법, 점수 올리는법은? (1) | 2023.10.15 |
국민연금 가입내역 확인방법, 추후 연금 수령은 얼마일까? (0) | 2023.10.03 |
애플 WWDC, MR 헤드셋 비전 프로 공개 :: 주가는? (0) | 2023.06.06 |
비트코인 피자데이란? 업비트, 빗썸 피자데이 이벤트 (0) | 202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