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반대매매, 미수거래, 신용거래가 뭘까?

by 머니도니도니 2023. 4. 29.

요즘 주식시장에 많은 이야기가 들리고 있습니다. 반대매매, 주가조작 등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요. 유명 연예인도 관련되어 있어 더 뒤숭숭하기도 한 듯합니다. 이 이슈를 지켜보다 보면 주식용어가 등장하곤 하는데요. 주식 반대매매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반대매매와 관련 있는 미수거래, 신용거래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썸네일

 

주식 반대매매란?

 

반대매매는 긍정적이고 좋은 상황에서 나오는 이야기는 아니고, 이번 상황과 같이 부정적인 이야기가 나올 때 등장하는 주인공 중 하나입니다. 반대매매는 미수거래와 신용거래와 관련이 있는데요. 일단 반대매매에 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반대매매는 증권사의 돈을 빌려 거래하는 미수거래나 신용거래를 통해 주식을 매입했을 경우, 주가하락에 따른 담보비율 하락으로 반대매매가 쏟아질 수 있습니다.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주었다면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돈을 갚거나, 주식가격이 떨어지지 않도록 바라야 하는데요. 만약에 주가가 떨어질 경우에 증권사에서 빌려준 돈 가치가 떨어지게 되어 청산이 이뤄집니다.

 

강제로 청산이 이뤄지면서 이를 반대매매라고 의미합니다.

반대매매가 실행되면 내가 원하지 않은 가격에 주식이 팔리게 되면서, 주식은 잃고 증권사에는 돈을 갚아야하는 상황이 되어버리는 거죠.

 

 

신용거래, 미수거래 뜻

 

그렇다면 신용거래, 미수거래 뜻은 무엇일까요? 신용거래와 미수거래 둘 다 약간 비슷한 느낌이긴 한데, 조금 다릅니다.

 

신용거래는 증권사가 고객으로부터 일정한 보증금을 받은 다음 주식을 사려는 자금이나 팔려는 주식을 빌려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주와 융자방식이 있는데요. 두 가지는 이러합니다.

 

  • 융자 : 증권사로부터 현금을 빌려 주식을 삼
  • 대주 : 주식을 빌려 시장에서 판 뒤, 나중에 주식으로 되갚는 방식

 

이 두가지 방식 중, 대주보다는 융자가 활발하다고 합니다. 이처럼 돈을 빌려주는 자체에 대해서는 미수거래와 비슷하지만 다릅니다. 신용거래는 계약에 따라 일정기간(30일 ~ 150일) 동안 정해진 이자를 물고 돈을 빌린다는 것이 조금 차이가 있다고 하네요~

 

 

미수거래는 증권사에 예치해 놓은 현금과 주식을 담보로 최대 2.5배까지 주식을 외상으로 살 수 있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주식을 매수할 때, 일시적으로 현금이 부족할 경우에 이 미수거래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미수거래를 진행할 때에는 주식매입대금의 30% 이상에 해당하는 증거금을 지불하며, 결제일은 2일 뒤입니다. 만약 결제일까지 매입대금을 지불하지 않는 경우에는 증권사에서 해당 주식을 하한가로 판매하는 반대매매를 하게 됩니다.

 

 

반대매매가 되면 주식은 그냥 싼 값에 팔리는 것인데요. 이렇게 되었을 때에는 30일간 증권계좌가 모두 동결되고, 증거금으로 현금 100%를 내야 한다고 합니다.

 

이렇기 때문에 신용이나 미수거래는 함부로 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현재 안 좋은 주식시장이 어떻게 될지 앞으로 지켜봐야겠습니다.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