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ISA 계좌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재테크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ISA라는 이름을 한 번이라도 들어보신 적이 있을 텐데요. 저 같은 경우에 작년에 알고서는 진행하기는 했는데 실질적으로 사용은 아직 안 해봤네요. 한번 정리해보고 원하는 방향대로 잘 사용할 수 있을지 체크해보려 합니다. 아래에서 함께 확인해보시죠
ISA 뜻 & 유형
먼저 ISA란 Indivisual Savings Account의 줄임말 입니다.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라고도 하는데요. 절세를 통해서 재산을 불리는 데에 도움을 되는 목적으로 제도화한 상품 중 하나입니다. 이는 분리과세 금융소득에 속합니다. 이 계좌에는 예금 및 펀드, ELS 등 다양한 금융상품 등을 담을 수 있으며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비과세 혜택은 유형에 따라서 200만원에서 4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ISA가입은 누구나 가능하지는 않고, 19세 이상의 거주자가 가능하고 근로소득자인 경우에는 15세 이상부터 가능합니다.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기간은 3년이며, 계좌에서 발생한 운용손익 통산 후에 200만 원까지 비과세가 가능합니다. 여기에서 초과된 금액은 9.9% 분리과세를 적용합니다.
ISA종류는 중개형이 있고, 신탁형이 있는데 이렇게 유형이 갈라진다는 이야기는 각각 편입되는 상품도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편입할 수 있는 상품이 다른데요.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중개형 ISA : 파생결합증권, 펀드, 국내상장주식, RP, 리츠
- 신탁형 ISA : 파생결합증권, 펀드, 예금, RP, 리츠
여기에서 납입한도는 연 2000만원이며, 미불입 한도는 다음연도로 이월 가능합니다. 저는 작년이 다 가기 전에 국민은행에 있던 신탁형 ISA를 중개형 ISA로 넘겼습니다. 실질적으로 아직 주식 관련해서 세팅을 안 했는데, 한번 살펴봐야 할 것 같네요.
중개형 ISA 장점
중개형 ISA 장점을 알아보면 세제 혜택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일반 계좌에서 이자와 배당소득을 받게되면 15.4%를 과세하게 됩니다. 600만 원을 벌었다고 쳤을 때, 이 금액에서 15.4%라면 92.4만 원인데요.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닙니다.
ISA 같은 경우에는 200만 원까지는 비과세이고, 200만 원을 초과하게 되면 9.9%를 분리과세하는데요. 그래서 600만 원을 벌었다고 해도 200만 원을 제외하고 9.9%로 세금을 매긴다고 보면 됩니다. 그래서 400만 원의 9.9%인 39.6만 원만 세금으로 내면 됩니다.
이와 같이 중개형 ISA의 혜택인 절세혜택은 배우 큽니다. 92.4만 원이었던 세금을 ISA로 전환시 키만 하면 39.6만 원으로 줄게 되면서 52.8만 원을 아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50만 원이면 치킨이 몇 마 리람!
이런 중개형 ISA계좌의 납입한도는 매년 2천만 원인데요. 계좌가 개설되는 시점부터 납입한도가 발생하고, 미불입 한도에 대해서는 다음 연도로 이월이 가능합니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빨리 개설하라는 이유가 이러한 이유 때문인데요. 그래서 작년에 서둘러했던 기억이 나네요.
뭐든지 장점이 있다면 단점이 있을 텐데요. 단점이 뭔지 봐봅시다!
중개형 ISA 단점
중개형 ISA 장점을 봤다면, 단점도 봐야죠! 사람마다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고 투자성향도 다르기 때문에 자신과 맞는 쪽으로 이어나가면 됩니다. 중개형 ISA의 단점으로는 의무가입기간이 3년이라는 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금액을 해당 계좌에 넣는 것은 비추천드립니다.
또 중개형 ISA에는 국내 상장주식만 가능합니다. 미국주식도 함께 편입할 수 있다면 아주 좋을 것 같은데 국내상장주식만 된다는 점은 아주 아쉽습니다. 그리고 연간 2천만 원, 총 1억 원까지의 납입한도가 정해져 있다는 점도 단점이라면 단점이 될 수 있겠죠.
중개형 ISA 같은 경우는 증권사에서 개설을 할 수 있는데요. 자주 사용하는 증권사나 수수료 혜택이나 이벤트 등을 많이 진행하고 있는 증권사를 찾아서 ISA 개설을 진행한 뒤 다양한 혜택을 받으시면 될 듯합니다
'돈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수입이란? 부수입, 파이프라인 종류 알아보기 (0) | 2022.09.27 |
---|---|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신청 자격 및 방법 ::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0) | 2022.09.12 |
서울시 청년 대중 교통비 지원 사업 대상, 지급일 (0) | 2022.09.09 |
서울시 청년 교통비 지원 사업 개요 및 신청대상 (0) | 2022.08.03 |
2022년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및 유형 / 국세청 홈택스 (0) | 2022.05.08 |
댓글